장애인연금 제도 핵심 정리 6가지 2025기준
1. 장애인연금, 누가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장애인연금은 만 18세 이상 64세 이하 중증장애인만 해당돼요. 장애 등급은 1급, 2급, 중복 3급에 한해서 받을 수 있답니다.
여기에 더해 소득과 재산 기준도 충족해야 해요. 예를 들면 단독가구라면 소득인정액이 138만 원 이하여야 하고요. 재산도 대도시 1억 3,500만 원 이하 등 지역별로 기준이 다르답니다.
65세가 되면 자동으로 기초연금으로 전환돼요.
2. 얼마 받나요? (기초급여+부가급여)
2025년 장애인연금은 두 가지로 나뉘어요. 바로 기초급여와 부가급여예요.
기초급여는 322,510원이고, 부가급여는 수급자 유형에 따라 달라져요.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라면 총 342,510원 정도 받을 수 있고요, 차상위계층은 402,510원, 일반 중증장애인은 약 372,510원 정도예요.
3.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은 간단해요. 주소지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도 가능해요.
준비물은 신분증, 통장 사본, 소득·재산 증빙서류 등이 필요하고요. 소득조사→장애정도 심사→지급 결정 순서로 진행되며, 매월 20일에 계좌로 입금돼요.
4. 근로소득이 있어도 받을 수 있나요?
네! 근로소득이 있어도 공제 항목 덕분에 수급 가능성이 있어요.
예를 들어 월급이 289만 원인 사람도, 기본 공제 92만 원 + 추가 공제 등을 하면 138만 원 이하로 계산될 수 있어 수급이 가능하답니다.
자활근로, 공공일자리 소득은 전액 제외돼요. 참 다행이죠?
5. 작년이랑 뭐가 달라졌나요?
2024년보다 몇 가지가 좋아졌어요!
- 소득 기준 인상: 단독가구 기준 130만 원 → 138만 원으로
- 공제 확대: 실질적으로 더 많은 분들이 수급 가능해졌어요
- 온라인 신청 간소화: 이제 더 편하게 신청 가능하답니다
6. 꼭 유의할 점!
장애인연금과 헷갈리는 제도가 있어요. **장애수당(월 6만 원)**은 경증장애인에게 주는 제도니까 혼동하지 마세요.
그리고 매년 재심사가 있어서 소득이나 장애등급이 달라지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어요. 65세 이후에는 자동으로 기초연금으로 전환된다는 점도 꼭 기억해주세요!
장애인연금은 중증장애인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핵심 제도예요. 😊
👉 신청 전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 꼭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