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배우기

트럼프 시대, 한국 기업이 주목해야 할 미국 투자 전략 💼

by 배우며살자 2025. 3. 30.
반응형

 

"동맹보다 거래?" 트럼프식 외교에 대비하는 한국 기업의 생존법

정치와 경제가 꼬여 돌아가는 세상에서,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흐름을 읽어야 한다는 말... 괜히 나온 말이 아니에요.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무대로 올라올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기업들이 미국 투자 전략을 다시 짜야 할 타이밍이 왔습니다.

2024년 이후의 미국은 예전과 다를 수 있어요. 트럼프의 외교는 '동맹'보다 '거래'에 가깝고, 그런 흐름에서 한국처럼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나라들은 곧장 영향권에 들어갈 수밖에 없겠죠. 😓 특히 반도체, 자동차 같은 주요 산업은 관세와 같은 정책의 칼날에 직격탄 맞을 수 있거든요. 그래서 요즘 다시 뜨는 단어가 바로 "대미 직접투자(DI, Direct Investment)"입니다.


온쇼어링 vs 프렌드쇼어링? 헷갈리지 말아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프렌드쇼어링'이라는 단어 많이 들었죠? 우방국끼리 공급망을 재편하자는 전략인데요. 트럼프는 좀 달라요. 걍 "미국에 와서 공장 지어!" 이게 핵심입니다. 😂

전 국무부 APEC 대사였던 커트 통은 트럼프식 '온쇼어링'을 강하게 경고하며, 그게 단순한 무역 전략이 아니라 미국 산업 부흥의 핵심 목표라고 딱 잘라 말했어요. 그러니까 한국 기업들도 이제 미국에 투자하고 있다는 ‘증거’를 더 명확히 보여줘야 한다는 거죠.

 

✔온쇼어링(Onshoring)은 기업이 해외에 있던 생산시설이나 제조 활동을 자국 내로 다시 이전하는 전략이에요. 예를 들면, 미국 기업이 중국에서 하던 제조를 미국 본토로 다시 가져오는 거죠.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 목적이 큽니다.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우방국이나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공급망을 이전하는 전략이에요. 위험한 지역이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있는 나라 대신, 정치적으로 가까운 나라에서 생산하거나 부품을 조달하는 방식이죠.

정리하자면:

  • 온쇼어링 = 우리나라로 공장 다시 들여오기
  • 프렌드쇼어링 = 믿을 만한 나라로만 공장 옮기기

둘 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관련된 키워드입니다! 💡


관세, 기술, 거래주의... 트럼프의 3T 전략 📊

커트 통 전 대사는 트럼프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3T’를 꼽았어요.

  • Tariff (관세): 외국 기업을 압박하는 무기
  • Technology (기술):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
  • Transactionalism (거래주의): 외교도 결국 비즈니스다?

이 흐름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단순한 친분이나 외교적 언사가 아니라 실질적인 기여가 필요하단 뜻이에요. 우리 기업들이 미국 내 일자리 창출, 제조 시설 확충 같은 성과를 보여줘야 신뢰를 얻는 시대가 왔습니다.


투자만 하면 끝? 트럼프는 '보여주는 거'를 좋아함 📷

통 전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동맹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체험적으로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어요. 그냥 설명한다고 안 믿는다는 거죠 😅

예를 들면, 트럼프가 한국에 방문했을 때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직접 참관하게 하는 거요. 이렇게 눈으로 보고 피부로 느껴야 ‘아~ 우리가 동맹 맞구나’ 하고 믿게 된다는 말이에요. 기업도 마찬가지! 수치보다 더 중요한 건 보여주는 성과예요.


올해 APEC,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 될 수도?! 🗓️

2025년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한국에게 엄청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어요. 커트 통 전 대사는 한국이 트럼프에게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다, 오셔서 보시라"는 메시지를 주는 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어요.

특히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나 기업인들이 직접 미국에 가서 “우리 진짜 많이 투자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면, 트럼프도 한국의 의지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거죠. 타이밍만 잘 잡으면, 이거 진짜 큰 그림 될 수 있어요.


한미일 안보협력, 동맹이냐 거래냐 🤝

그리고 마지막으로, 안보 이슈도 빼놓을 수 없죠. 한미일 안보협력은 북한 억지력으로도 중요하지만, 트럼프는 여기서도 ‘동맹’보다 ‘누가 뭘 줬냐’에 더 민감한 스타일이에요.

그래서 통 전 대사는 한국과 일본이 더 자주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미군 주둔 문제나 방위비 분담 같은 민감한 이슈에서 공동 대응이 가능해야 트럼프 같은 스타일에도 휘둘리지 않는다는 거죠.


트럼프의 귀환, 위기일까 기회일까?

미국 대선이 다시 가까워지고 있는 지금, 트럼프의 정치적 귀환은 단순한 뉴스거리가 아니에요. 한국 기업들, 특히 글로벌 산업에 속한 기업들은 이런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생존이 갈릴 수 있어요.

기존 방식으로는 안 되는 시대, 한국 기업들이 투자와 소통, 시각적 전략까지 삼박자를 맞춰야 트럼프식 정치와 경제 흐름을 뚫고 나갈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트럼프의 재등장이 한국 기업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여러분은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우리 같이 이야기 나눠봐요.

반응형